21세기 한국의 교육대계는 기본적으로 통일 상황 속에서 수립되어야 하고이제는 분단의 평화적 관리 차원을 넘어서 적극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는 토대 위에서 장기간의 교육대계를 설계할 시점입니다지금부터는 통일한국을 대비하여 남북한 교육통합 원칙목표전략그리고 과제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각각의 통일 단계에 적용 가능한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꼼꼼하게 구상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기본원칙 제시정책적 판단학교 현장의 검토가 맞물려 진행되려면 통일교육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초··고 학교에서의 통일교육 전문가들이 함께 교육통합을 준비해야 합니다통일교육연구센터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영역 Ⅰ 실험학교로서의 통일학교 설치 및 운영 

⦁ 통일 실험학교 설치운영을 위한 기초 연구 및 기반 구축

⦁ 서울대학교 통일학교 운영의 효율화 및 전국적 확산

⦁ 서울대 부설학교(초등 중등)의 통일교육 특성화 유도

⦁ 장기적으로 남북한 중립지역에 통일학교 설립 추진 (접경지대개성공단 등)

 

 영역 Ⅱ 남북한 교사 통합을 위한 통일학교

⦁ 남북한 교사의 교육 역량의식역할 비교 연구

⦁ 남북한 교육통합 선도교사(학교급별교과별양성 및 재교육

⦁ 우수 NK교사 교사자격증 양성화 사업 (사범대 진학 등)

⦁ 교사통합을 위한 남북교육포럼(NK 교사 포럼운영

⦁ 통일 한국의 교원 수요 예측 및 교사양성 체제 연구

⦁ 장기적으로 남북한 교원양성기관 교류·협력 추진

 

 영역 Ⅲ 남북한 학생 통합을 위한 통일학교

⦁ 남북한 학교문화 통합 연구 및 실행

⦁ 남북한 청소년의 세대 경험 및 의식 통합

⦁ 탈북 청소년 중 우수 인재 발굴 및 양성 (탈북자를 위한 예비대학 운영)

⦁ 청소년 통일리더쉽 프로젝트 개발

⦁ 장기적으로 학교를 매개로 한 남북 학생 교류 환경 구축

⦁ 청소년 통일 연구 프로젝트

 

■ 영역 Ⅳ 통일한국의 교육통합 구축

⦁ 남북한 초·중등학교의 교육영역별 통합 방안 탐색

(영역 교육법·이념교육행정교원제도교육과정 및 평가 등)

⦁ 남북한 교육통합 정보 DB 구축

⦁ 통일 한국의 학교급별 교육 수요자 예측 및 학교 배치 방안 연구

⦁ 남북한 교육 교류와 협력 기초 마련(온라인 및 오프라인)

 

 영역 Ⅴ 통일한국의 교육과정교과서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

⦁ 통일한국의 표준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개발

⦁ 남북한 학생 학업 성취도 비교 및 균등화 전략 수립

⦁ 남북한 교과별 교과서 비교 및 통일 한국의 표준 교과서 설계

⦁ 남북한 교수학습 방법 비교 및 균등화 전략 수립

⦁ 북한 지역의 교수학습 환경 선진화 방안 연구 (인터넷 환경 구축 등)